[건강] 아침 ‘기지개’가 주는 건강 효과

아침마다 피로감에 일어나기 어렵다면, 몸을 쭉 펴는 기지개를 해보자. 기상 직후 기지개를 켜면 잠에서 잘 깨어날 수 있게 도와줄 뿐 아니라, 여러 건강에 이로운 효과를 낸다.

잠을 잘 때는 아주 적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그런데 아침에 일어나면 활동을 위해 갑자기 많은 양의 에너지가 필요하게 된다. 이때 몸 곳곳에 혈액이 원활히 전달돼야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데, 기지개를 켜면 전신에 혈액이 더 잘 퍼진다. 기지개를 켜면 근육이 수축하고, 수축한 근육이 혈압을 높여주기 때문이다. 밤사이 움직이지 않아 굳어있는 근육·관절도 풀어준다. 성장기 아이들에겐 키 크는 데도 도움을 준다. 근육이 당겨지면서 성장판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바른 자세로 기지개를 하면 목·허리 디스크 예방에도 좋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허리를 꼿꼿하게 편 상태로 앉는다. 등 양쪽 어깨뼈(견갑골)의 간격이 좁아진다는 느낌으로 가슴을 활짝 연다. 팔도 함께 양옆으로 뻗는다. 가슴을 열 때, 턱도 들어 올려 목을 천천히 뒤로 젖힌다. 이때 목을 과하게 뒤로 젖히면 안 된다. 통증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만 젖힌다. 매일 아침 외에도 수시로 해주면 좋다.

한편 아침에 일어나서 기지개를 켰다면, 그다음 바로 불을 켜거나 창문을 열자. 빛을 쬐면 잠을 유도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가 억제된다. 또 눈을 뜬 직후 밝고 선명한 것을 보면 아드레날린도 분비되는데, 이는 기분을 들뜨게 만들어 잠에서 깨는 것을 돕는다. 아침 공복에 시원한 물 한 잔을 마시는 것도 잠에서 깨는 데 효과적이다. 체내에 수분이 충분히 공급될 뿐 아니라, 장을 부드럽게 자극하면서 모든 소화기관이 활기차게 움직인다.

/ 전혜영 헬스조선 기자 hyeyoung@chosun.com

만약 그랬었더라면

그럼, 후회 안 하시는 거예요?

할 수도 있겠지

몇몇은 후회하겠지

하지만, 그것들에 대해 고민해봐야 소용없잖아?

저기 재미슨 부인을 봐

왜요?

후회로 가득 찬 여자야

저 할머닌 젊었을 때  댄서였단다

그건 몰랐어요

그리곤 ‘빌 재미슨’을 만났지

사랑에 빠졌고, 결혼했어

그는 그녀가 일하는 걸 원치 않았지

그리고, 그는 그녀가 약 30살이었을 때 세상을 떠났어

그때부터 불행은 시작됐지

‘만약 그랬었더라면, 어떻게 됐었을까’로

가득 찬 인생이 되었지

소용없는 짓이야

 

  • Just in Time for Christmas

모든 것은 그럴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옛날 어느 마을에 무척 현명한 노인이 살고 있었다. 마을 사람들은 그 노인이 자신들의 질문과 걱정거리에 대해 지혜로운 답을 알려 줄 것이라 믿었다.
어느 날 마을의 한 농부가 그 현명한 노인을 찾아가 다급한 목소리로 물었다. “어르신은 현명한 분이시니, 제발 좀 저를 도와주십시오. 무서운 일이 일어났습니다. 기르던 황소가 갑자기 죽어 버렸습니다. 이제 제게는 땅을 갈 가축이 하나도 없습니다. 제게 이보다 더 나쁜 일이 어디 있겠습니까?”
그러나 현명한 그 노인은 “그럴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하고 대답했다.
이 말을 들은 농부는 서둘러 마을로 돌아가, 이웃 사람들에게 그 노인이 미쳤다고 말했다.
분명 그 일은 농부에게 일어날 수 있는 가장 불행한 일이었다. 그런데 그 노인은 왜 그것을 깨닫지 못하는 것일까?
한데 바로 그 다음날, 튼튼하고 젊은 말 한 마리가 농부의 밭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그는 그 말을 잡아다가 죽은 황소 대신 일을 시켜야겠다고 생각했다.
말을 얻은 농부는 무척 기뻤다. 황소를 부릴 때보다 밭을 가는 일이 너무도 쉬워졌던 것이다. 그는 현명한 노인을 찾아가 사과했다.
“당신의 말씀이 옳았습니다. 현명한 분이시여. 황소를 잃은 것이 제게 가장 나쁜 일은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사실 축복이었습니다! 제가 황소를 잃어버리지 않았더라면 말을 얻지 못했을 것입니다. 이것이야말로 제게 일어날 수 있는 가장 좋은 일이 아닌가요?”
그러나 현명한 노인은 다시 한번 “그럴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하고 말했다.
농부는 다시, 그 노인의 말이 옳지 않다고 생각했다. 노인은 제정신이 아닌 것이 틀림없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농부는 앞으로 자신에게 무슨 일이 벌어지게 될지 모르고 있었다.
며칠 후 농부의 아들이 그 말을 타다가 낙마를 하고 말았다. 이 때문에 그는 다리를 다쳐 수확을 도울 수가 없게 되었다.
농부는, “이럴 수는 없어. 이제 우리는 굶어 죽게 되고 말 거야”하고 땅이 꺼질 듯 한숨을 지었다. 그리고는 다시 한번 현명한 노인을 찾아갔다.
이번에 그는, “말을 얻은 것이 좋은 일이 아니란걸 어떻게 아셨나요? 당신의 말씀이 또 옳았습니다. 제 아들이 다리를 다쳐 추수를 도울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번 일이야말로 제게
가장 나쁜 일이라고 확신합니다. 이번에는 제 말에 동의하셔야 할 겁니다”하고 말했다.
하지만 전과 마찬가지로, 현명한 노인은 조용히 농부를 바라보며 연민이 가득 담긴 목소리로, “그럴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하고 말했다.
노인이 그토록 무식한 것에 화가 난 농부는 투덜대며 마을로 돌아갔다.
그러나 그 일이 있은 바로 다음 날, 마을에 군대가 들어와 몸이 성한 사람들은 모두 얼마 전 시작된 전쟁터로 끌고 갔다. 그 농부의 아들은 마을에서 전쟁터로 징용되지 않은 유일한 젊은이였다. 그는 다른 많은 젊은이들은 싸우다 죽을 것이 뻔한 잔인한 전쟁을 피하여 살아남을 수 있게 되었다.

이 이야기는 우리에게 특별한 교훈을 들려준다.
실제로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날지는 아무도 모른다. 다만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안다고 생각할 뿐이다.
사람들은 자신에게 일어난 일들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려 하고, 이것으로부터 거창한 사실을 끄집어낸다. 그리고 머릿속으로는 앞으로 일어날지도 모르는 끔찍한 일들에 대한 시나리오를 만들고, 그것을 과장되게 부풀려 생각한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사람들의 지나친 근심은 빗나가기 마련이다. 냉정을 유지하고 여러
가능성을 향해 마음을 열어 놓을 때에야 비로소, 결국에는 모든 것이 잘 되리라는 확신이 서게 된다.
다음을 반드시 명심하자. 모든 것은 ‘그럴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우리는 사소한 것에 목숨을 건다(리처드 칼슨)

태산은 한줌의 흙도 사양하지 않는다. 

태산불양토양
泰山不讓土壤

태산은 한줌의 흙도 사양하지 않는다.

이 말은 나와 생각이 다른 사람들의 의견조차도 수용할 수 있는 자만이 큰 인물이 될 수 있음을 비유한 것으로, 원문은 사마천의 <사기(史記)> ‘이사(李斯) 열전’에 실려 있습니다.

泰山不讓土壤(태산불양토양) 태산은 적은 흙 알도 사양하지 않아
故能成其大(고능성기대) 그렇게 커질 수 있고
河海不擇細流(하해불택세류) 하해는 실개천도 가리지 않아
故能就其深(고능취기심) 그 깊음을 이룰 수 있는 것입니다.

진(秦)나라 때 승상을 지낸 서예가 이사(李斯)는 원래 초(楚)나라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품은 뜻을 펼치고자 진나라로 가서 발탁돼 객경(客卿)이라는 벼슬에 올랐습니다. 객경은 다른 나라 출신의 인사를 등용시켜 벼슬을 주는 자리였습니다. 그러던 중 어떤 사람이 모종의 음모에 연루돼 축출되자 이사는 그를 변호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상소문을 올렸습니다.

“신이 듣건 대 땅이 넓으면 곡식이 많아지고 나라가 크면 백성이 많으며 병력이 강하면 병사가 용감해진다고 합니다. 태산은 본디 한줌의 흙도 사양하지 않았으므로 그렇게 높을 수 있으며 하해는 작은 물줄기라도 가리지 않았으므로 그 깊음에 이른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왕은 백성들을 물리치지 않음으로써 덕망을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백성을 버려서 적국을 이롭게 하고 빈객과 천하의 인재들을 내몰아 나라에 공을 세우지 못하게 하니 이는 적에게 병사를 빌려주고 도적에게 양식을 보내주는 격입니다.”

사람이 많으면 말이 많고, 말이 많으면 그 가운데는 진실과 거짓이 혼재하기 마련입니다. 그러나 권력자들은 제 입에 맞는 말만 들으려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집니다. 이사의 상소를 본 진나라 왕은 그 사람을 내쫒지 않고 외려 벼슬자리에 오래 머물게 했다고 합니다. 이만하면 진나라 왕은 귀가 열린 사람이라고 하겠습니다.
.
.
.
하늘에 닿을만한 태산도 따지고 보면 한 줌 흙에서 비롯한 것입니다. 망망대해 바다도 따지고 보면 산골짜기에서 샘솟아 실개천을 이룬 작은 물줄기가 여럿 모여서 된 것에 불과합니다. 태산이 한 줌 흙을 무시하고 바다가 개천의 물줄기를 외면한다면 이는 뿌리와 근본을 망각한 것입니다. 천하를 호령하는 막강 권력도 따지고 보면 국민 개개인으로부터 생겨난 것입니다.